본문 바로가기
건강검진/나에게 필요한 건강검진

비만 진단기준 - BMI 계산기

by Dr. 그루크낭 2023. 3. 1.
반응형

비만진단기준
BMI 계산기

 

체내 지방량을 측정해 비만도를 평가하면 좋겠지만, 실제 지방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체중(kg)을 키(m)를 이용해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를 계산하여 쉽고 간편하게 비만 위험도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은 BMI와 비만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BMI 계산기
BMI를 이용한 국제 비만 진단기준
BMI로 비만을 진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대한비만학회 비만진료지침(2022, 8판) 권고사항
맺음말

 

1. BMI 계산기







 

 

 

  • BMI ≤ 18.5 kg/m²    : 저체중
  • BMI 18.5~22.9 kg/m² : 정상
  • BMI 23~24.9 kg/m² : 비만 전 단계 ( 과체중 or 위험체중 )
  • BMI 25~29.9 kg/m² : 1단계 비만
  • BMI 30~34.9 kg/m² : 2단계 비만
  • BMI ≥ 35 kg/m²        : 3단계 비만 ( 고도비만 )

 

2. BMI를 이용한 국제 비만 진단기준

비만의 기준·정의는 나라마다 다르게 책정되어있습니다.

 

  • 해외의 경우 세계보건기구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기준을 적용해 BMI 25 이상부터 BMI 30 까지를 과체중, BMI 30이상을 비만으로 분류합니다. 
  • 우리나라는 2000년 제정된 아시아·태평양 기준을 적용해 BMI 25 이상부터 BMI 30까지를 비만, BMI 30이상은 고도비만으로 규정합니다.

서구 기준보다 아시아·태평양 기준이 낮게 측정된 이유는 동양인이 같은 비만도에서 서양인보다 합병되는 질환과 사망률이 더 높았기 때문입니다. 동일한 비만도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모든 인류가 똑같은 비율로 병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인종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시아인의 경우 BMI 25 이상의 구간부터 고지혈증, 당뇨, 암 등의 합병 질환의 유병률 및 사망률이 증가한다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연구결과를 토대로 BMI 25 이상을 비만으로 보는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비만기준 국제 비교
BMI 기준 WHO 일본 비만학회 한국비만학회(2022)
< 18.5 저체중 저체중 저체중
18.5-22.9 정상 보통체중 정상
23.0-24.9 정상 보통체중 비만전단계
25.0-29.9 과체중 비만 1도 1단계 비만
30.0-34.9 1단계 비만 비만 2도 2단계 비만
35.0-39.9 2단계 비만 비만 3도 3단계 비만
> 40 고도비만 비만 4도  

 

대한비만학회 비만 진료지침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체질량지수가 18.5~22.9 사이면 정상 범위에 속한다고합니다.
BMI가 정상이라면 비만으로 인한 질병이나 사망에 대한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BMI
아시아, 태평양 기준 체질량지수 BMI

 

 


체질량지수 증가에 따라 비만과 관련된 질환 발생이 증가하고 체질량 지수가 너무 높으면 사망률도 높아지는 상관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다음 표는 비만 기준에 따라 비만을 분류했을 때 비만도에 따른 질병과 사망의 위험도를 비교한 것입니다.

비만 기준에 따른 질병·사망 위험 비교
비만분류 체질량지수  
세계기준 WHO 국내 기준
아시아·태평양지역 WHO
질병·사망위험
저체중 18.5 미만 18.5 미만 낮다
정상 18.5-24.9 18.5-22.9 평균
과체중 25.0-29.9 23.0-24.9 약간 증가
비만 30.0-39.0 25.0-29.9 중등도 증가
고도비만 40.0 이상 30.0 이상 매우 심함

 

3. BMI만으로 비만을 진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체질량지수 BMI는 단순히 키 대비 체중(kg/㎡)을 보기 때문에 체형이나 근육량, 골량 등을 감안해 판단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BMI는 키와 몸무게만으로 구하기 때문에 지방이라는 개념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씨름선부의 경우 BMI 상으로는 당연히 비만이지만 몸을 분석해보면 지방이 많지 않을 수 있습니다.

 

BMI가 가장 중요한 비만 지표이지만, BMI 기준만으로 비만을 규정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관련 학회마다 허리둘레나 가지고 있는 동반질환을 고려하는 등의 약간의 보완 노력을 하고있습니다.

 

2016년 미국임상내분비학회(AACE)에서는 BMI 25 이상일 경우, 당뇨병, 대사증후군,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심혈관 질환 등 합병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며 적극적인 체중관리를 권고하는 비만 가이드 라인을 개정했습니다.

 

우리나라 대한비만학회는 2022년 발표한 비만진료지침 8판에서 내장지방과 상관관계가 높은 허리둘레를 비만 진단에 추가하였습니다.

 

한국인에서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에 따른 비만 동반 질환 위험도
분류 체질량지수(kg/㎡) 허리둘레에 따른 비만 동반 질환의 위험도
< 90cm 남자
< 85cm 여자
90cm 이상 남자
85cm 이상 여자
저체중 < 18.5 낮음 보통
정상 18.5-22.9 보통 약간 높음
비만전단계
(과체중 혹은 위험체중)
23.0-24.9 약간 높음 높음
1단계 비만 25.0-29.9 높음 매우 높음
2단계 비만 30.0-34.9 매우 높음 가장 높음
3단계 비만
(고도비만)
35이상 가장 높음 가장 높음

 

4. 대한비만학회 비만진료지침 권고사항(2022년, 개정8판)

  • 모든 성인에서 최소 1년에 한번 체질량지수(BMI)를 측정할 것을 권고한다. (B, class I)
  • 성인 비만의 기준 동반 질환의 위험을 고려하여 체질량지수 25 kg/㎡ 이상으로 한다. (B, class IIa)
  • 성인에서 비만은 동반질환의 위험을 고려하여 체질량지수 25.0~29.9kg/㎡ 를 1단계 비만, 30.0~34.9 kg/㎡를 2단계 비만 그리고 35.0kg/㎡ 이상을 3단계 비만(고도비만)으로 구분한다. (B, class IIa)
  • 성인 복부 비만의 기준은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남자에서는 90cm 이상, 여자에서는 85cm 이상으로 한다. (B, class IIa)
허리둘레 레벨 6
     레벨 1 남성 80cm 미만, 여성 75cm 미만
     레벨 2 남성 80cm 이상 85cm 미만, 여성 75cm 이상 80cm 미만
     레벨 3 남성 85cm 이상 90cm 미만, 여성 80cm 이상 85cm 미만
     레벨 4   (레벨 4 이상은 복부비만) 남성 90cm 이상 95cm 미만, 여성 85cm 이상 90cm 미만
     레벨 5 남성 95cm 이상 100cm 미만, 여성 90cm 이상 95cm 미만
     레벨 6 남성 100cm 이상, 여성 95cm 이상

 

 

맺음말 

우리가 국가검진 또는 직장검진 검사하러 병원에 가면 키와 몸무게 그리고 허리둘레를 측정합니다.

검진 할 때 BMI 수치와 허리둘레를 보고 현재 자신의 비만 상태를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체질량지수가 높아 비만으로 진단되면 음식 섭취량을 조절하고, 활동량을 증가하는 등의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합니다.

더불어 식사요법, 운동치료, 행동치료를 병행하여 체중을 줄이고,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그렇게해야 비만과 연관성이 높은 대사증후군,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등을 미리 예방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으로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일입니다.

댓글